본문 바로가기
공모주 기업 분석

하스 공모주 청약. 기업 분석, 전망과 성장성

by 주린천하 2024. 6. 21.

 하스 (하스바이오) 종목의 공모주 청약일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하스는 치과용 소재인 리튬디실리케이트 (Li2Si2O5) 와 지르코니아 (ZrO2) 소재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치과, 이빨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바로 생각나는 기업이 디오, 오스템임플란트 (자진 상장폐지 하였죠) 인데요, 두 기업은 임플란트가 메인이고 하스는 위 소재를 기반으로 생산되는 제품들이 주력입니다. 보철물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하스라는 기업을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부디 여러분의 투자에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하스 공모주 청약]

청약일정 : 24.06.24 - 24.06.25
상장예정 : 24.07.03
청약증권사 : 삼성증권
공모가 : 16,000원(확정)

하스 홈페이지 메인화면

[하스]

- 하스 기업 분석

 

테마 : 의료용 소재 (≒고령화, 노령화)

 

 하스는 치과 관련 소재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입니다. 매출은 150억대이며 영업이익은 10-20억대 입니다. 일단, 영업이익이 발생한다는것이 인상적입니다. 비상장 기업은 적자기업이 많기 때문이죠.  앞서 말씀드렸던 리튬디실리케이트, 지르코니아 소재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두 소재 모두 단단하면서 약간 반투명한 느낌이 있어서 치과용 소재로 적합합니다. 굳이 비교하자면 리튬디실리케이트가 훨씬 단단합니다. 지르코니아는 매우 저렴하여 타 산업군에도 단단한 소재로 자주 사용됩니다. 대주주 중에 디오나 오스템임플란트가 있을까 기대했는데 딱히 알만한 기업은 없습니다. 참고로 '오스템'이라는 기업은 차량용 부품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입니다.

 상장주 중에 치아 관련주인 디오와 간단히 비교하자면, 디오임플란트, 치과용 기자재(치과에 있는 각종 기계들) 사업을 영위하는 것이고, 하스는 치과 치료할때 이빨 모양을 만들 수 있는 소재사업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테마에 고령화, 노령화를 적어두었는데요 치아 관련주인 디오와 오스템임플란트가 예전에 엮였던 테마로, 모두 아시다시피 대한민국은 고령화 인구가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스도 치아 관련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니 고령화 테마에 엮일 수 있으며 따라서 고령화 관련 공약들이 나올 때 주가가 움직이는지 관찰해보시기 바랍니다. 

  하스의 제품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따로 설명드릴텐데요,아래와 같이 리튬디실리케이트와 지르코니아 소재를 함께 사용하여 더 강력하게 부착된 보철물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고 투자설명서에 설명해두었습니다. 이런 장점들을 바탕으로 시장을 장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하스 Amber LiSi-POZ 제품

- 하스 사업 아이템

 하스는 아래와 같은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임플란트와는 동떨어진 아이템들로 느껴질 수 있으나, 임플란트와 경쟁하는 아이템들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보철물이 잘 되어있으면 임플란트의 비율이 줄어들테니까요.

① Amber Mill : 리튬디실리케이트로 제작된 제품으로 자연치아와 유사한 심미성을 지닌 제품입니다. 이 Amber Mill이라는 제품을 가공하여 이빨 모양을 1개 만드는데, 가공 온도에 따라 약 80가지 색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합니다. 치과 입장에서는 각 색상에 따른 재고 관리를 따로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겠네요. 또한 차후에 아래 제일 오른쪽 사진처럼 디스크 모양으로 (육각형) 만들어 하나의 틀에서 30개 이상의 이빨을 가공해낼 수 있도록 개발중이라 합니다.

하스 Amber Mill 제품 설명 (출처 : 하스 투자설명서)

② Rosetta SM/SP : Amber Mill과 마찬가지로 리튬디실리케이트 소재를 이용한 제품이며 유럽에서 약 10여년간 독점해오던 기술이었다고 합니다. Amber Mill과의 차이점은, Rosetta 제품은 초기에는 훨씬 가공이 쉬운 상태이며 가공 후 열처리를 하면 강도가 높아지는 제품이라고 합니다. 마치 도자기를 빚을 때 처음에는 물렁하지만 가마에 굽고나면 단단해지는 것고 같습니다. 조금 더 과학적으로 설명드리면, 이는 열처리 전후의 결정구조의 변화 원리를 이용한 것인데요, 말만 들으면 쉬워보이지만 부피변화와 그에 따른 변형과 크랙, 균일도 등 다양한것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엄청난 기술입니다. 국내에서는 가장 높은 비중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중동, 남미, 아시아까지 수출되는 상품입니다.

 이 외에도 앞서 말씀드린 LiSi-POZ, Zirtooth 등의 제품들이 있습니다.

하스 Rosetta SM/SP 제품 (출처 : 하스 투자설명서)

- 하스 전망

 앞서 치과소재는 고령화, 노령화 테마와 관련이 되어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이는 대한민국 뿐 아니라 다른나라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상대적인 소득수준이나 국가의 복지 수준도 높아지고 있으니 의료복지는 앞으로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하스는 중동, 아시아, 미국, 유럽, 중국 등의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 외적으로 모두 장기적으로 봤을 때 매출의 증가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제품이 아닌 리튬디실리케이트와 지르코니아라는 소재 사업을 영위하는 중이니, 다른 분야의 적용 가능성을 찾아 사업을 확장한다면 매출, 영업이익 모두 급증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단단한' 특징을 활용하여 폴리싱(Polishing) 관련 연마재로의 활용도 가능할 것이며, Rosetta 제품의 원리도 잘만 이용하면 괜찮은 사업아이템을 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글이 투자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